지식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JSP와 Servlet 결론부터 말하자면 JSP는 HTML 속 JAVA 코드이고 Servlet은 JAVA 코드 속 HTML 코드이다. 결국 결과까지 똑같다. Servlet은 자바 기반이니 당연히 자바API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근데 Servlet의 문제점으로 인해 JSP가 등장하였다. (자바기반이니 자바실력요구 -> 웹개발자들 어렵, 구조 파악 힘듦...등) JSP가 뒤에 나온 기술이기 때문에 JSP는 Servlet의 모든 기능을 사용가능 + α 추가적인 기능까지 사용가능 ※ but 상위호환 개념이 아니라 상호보완적 개념이다. 이로써 해결 되나 싶었지만! JSP 한계가 보이면서 MVC 패턴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러한 연유로 JSP와 Servlet을 구글에 검색하면 MVC 패턴이 같이 포스팅 된 글을 쉽게 볼수있다. JSP.. spring project 종류 (?) 내가 너무 헷갈린다. 스프링 spring spring(spring framework)은 java 기술들을 더욱 쉽게 사용할수있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ex) IoC(제어반전), DI(의존성주입), AOP(관점지향 프로그래밍), POJO(getter,setter) spring boot spring boot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쓰려면 설정해야하는 파일(web.xml, rootContext.xml, ServletContext.xml... 등)을 알아서 해준다. 수고를 덜어준다 ex) 의존성 자동화, 라이브러리 버전 자동관리, 내장톰캣, 단독 실행가능한 jar파일 Spring Legacy Project 일반적인 스프링 프로젝트 *legacy - 유산이라는 뜻으로 레거시 코드하면 다른사람이 이미 만들어둔 코드 S.. OTT 뜻 프로젝트 주제를 구상하던중 영화주제로 정했고 주제선정동기를 적는데 같은 팀원이 이렇게 말하더라 ott서비스가 발달하는 최근 트렌드에 따라, 영화가 너무 많고 선택의 폭이 넓어 고르는데.. 뭔지 몰라서 바로 찾아봤다. Over The Top - 세톱박스를 넘어서.. 즉 언제어디서든 미디어 컨텐츠를 즐길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넷플, 왓챠, 웨이브, 유튜브, 등등등등 이전 1 2 다음